반응형

직장인 부자되기 [주식·금융] 43

주투넓얍 [1] 주식은 처음이라: 주식의 개념과 구조

주투넓얇: 주식 투자를 위한 넓고 얇은 백과사전 "아무것도 모르지만, 뭐라도 해봐야 할 것 같았다."어느 날 불현듯 '나만 가만히 있는 건가?' 싶은 당신을 위한 이야기다.1. 주식? 그거 해도 되나요?직장 점심시간. 누군가의 입에서 “야, 너 삼성전자 샀냐?”는 말이 나온다.그 순간 나는, 수저를 들다 말고 급하게 포털을 켜본다. "삼성전자... 주가..."그리고 생각한다.“나도 뭐라도 사야 하나?”📌 Q: 주식이 뭔가요?➡️ 주식(株式)이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지분의 단위다.주식을 산다는 건, 그 회사를 '조금' 소유하는 것. 그게 코카콜라든, 네이버든, 심지어 테슬라든 상관없다. 당신은 주식을 사는 순간, 주주가 된다.🎯 요약하면 이렇게다.주식 = 회사의 소유권 일부..

재미있는 생활 통계 [6] 우리는 월세에 얼마를 쓰고 있을까?: 대한민국 월세 평균

🏠 “월세살이, 생각보다 많이 새고 있다”“월세는 버리는 돈이야.”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말이다.하지만 정작, ‘얼마를 버리고 있는 건지’는 잘 모른다.월세는 말없이 빠져나가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작은 구멍이 아니라 계좌를 통째로 들고 나가는 구멍이다.1. 월세, 대한민국 절반이 내고 있다한국의 주거 형태를 살펴보면,📊 2023년 기준 전체 가구 중 약 42%가 무주택 가구이며이 중 약 31%는 월세나 반전세 형태로 거주하고 있다.청년층으로 좁혀보면, 그 비율은 더 높다.📌 2030세대의 주거 유형을 보면월세 비중이 50% 이상이라는 조사도 있다.그야말로 “절반은 월세를 내며 산다.”그럼, 얼마나 내고 있을까?2. 평균 월세는 얼마?국토교통부의 2024년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1인 가구 기..

투자 따라하기 [3] K-직장인의 월급 100만원 투자법: 현실적인 소액 투자 방법

“K-직장인, 월급 100만원으로 투자 시작한다”점심값이 1.5만원이다.스타벅스 라떼에 샌드위치 하나면 끝이다.월 30일이면, 점심값만 45만원이다.💡 그럼 묻는다.‘나는 대체, 무엇을 위해 일하고 있는가?’누군가는 말한다.“일은 투자금 마련하는 과정이다.”그리고 그 말에 맞춰월급 100만원을 투자하기로 결심한 직장인들이 있다.오늘은 그런 현실적인 K-직장인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따라가본다.K-직장인 A씨의 조건항목내용연령31세직업중견기업 사무직월급실수령 약 320만원고정지출월세 70 + 식비 45 + 보험 15 + 기타 40가용 투자금월 100만원 부모 찬스 없음, 빚 없음, 시간이 없음.그저 꾸준함 하나로 투자하고 있는서울살이 평범한 직장인의 사례다.A씨의 포트폴리오 요약"가장 먼저 월급통장에서 10..

재미있는 생활 통계 [5] 편의점 소비, 10년 모으면 1500만원?

🍙 편의점은 오늘도 당신의 월급을 소리 없이 가져간다“그냥 삼각김밥 하나, 캔커피 하나야.”지극히 사소한 선택이지만,이 작은 루틴이 한 달, 그리고 일 년 후 어떤 흔적을 남기는지 알고 있는가?1. 편의점, 그곳은 도시인의 부엌이다한국은 세계적으로도 편의점 밀집도가 높은 나라다.2024년 기준 전국에 약 5만 개의 편의점이 운영 중이며,서울만 해도 500m 이내에 편의점이 두세 개씩은 존재한다.그야말로 ‘코앞의 소비’다.24시간 켜져 있는 네온사인과 “삑” 소리는우리 지갑도 함께 열리게 만든다.📌 그런데, 이 익숙한 장소가당신의 월급 도둑일 수도 있다.2. 편의점 소비, 얼마나 하고 있을까?통계청과 편의점 업계 리포트를 종합하면2030 세대의 월평균 편의점 지출은 약 12만~15만 원 수준이다.특히 ..

투자 따라하기 [2] 워렌 버핏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버핏 아저씨, 저도 좀 따라해도 될까요?”시작은 아주 단순하다.“내가 보기엔 S&P500 사는 게 낫다.”이 말을 한 사람은 다름 아닌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워런 버핏이다.근데, 정작 본인은 S&P500이 아니라 애플을 40%나 들고 있다. 🍎...그럼 우리도 따라 해보는 수밖에.버핏 포트폴리오의 핵심은?🧠 단순하지만 깊다.워런 버핏이 좋아하는 기업엔 공통점이 있다.브랜드가 강하고가격 결정권이 있으며재무구조가 좋고무너지지 않는 “경제적 해자”가 있다그리고 무엇보다,“버텨줄 수 있는 기업”이다.2024년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 포트폴리오 구성다음은 미국 공시자료(F13)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워런 버핏 포트의 탑픽이다.이걸 기준으로 개인 버전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본다.종목비중버핏이 좋아하는 이유Ap..

투자 따라하기 [1] 미국 주식 고배당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투자 따라하기 1편"월급처럼 배당 받자" 미국 고배당 따라잡기 프로젝트시작은 이렇다.“나 배당금 들어왔어. 달러로.”이 말이 처음에는 자랑 같았다.두 번째 들었을 땐, 부러웠고,세 번째 들었을 땐… 계좌를 열었다.은행 이자는 실감도 안 나는데,미국 배당주는 진짜로 돈을 준다.그것도 매달! 📅그렇다. 바로 오늘은 그 배당금 부자 따라잡기에 도전해본다.미국 고배당주란 무엇인가고배당주는 말 그대로 배당금을 많이 주는 주식이다.미국은 특히 배당 문화가 발달해서,기업들이 "분기마다" 혹은 "매달" 돈을 나눠준다. 💵여기서 핵심은 "매달"이다.한국에선 상상도 어려운 월급 같은 배당.바로 이 월배당 시스템 덕분에미국 고배당 포트폴리오는 투자자들의 로망이 되었다.따라하기 포트폴리오 구성 (예시: 1,000만원..

재미있는 생활 통계 [4] 한국인은 커피에 얼마를 쓸까?

☕ 하루 한 잔의 위로, 혹은 연간 180만 원의 지출이다“하루 한 잔, 이 정도는 괜찮잖아?”그렇게 말하며 테이크아웃 커피를 들고 사무실로 향하는 발걸음.☕ 그 한 잔이 위로가 되는 건 사실이지만, 통계는 좀 다르게 말한다.1. 커피는 이제 생필품이다한국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커피 소비 대국이다.국제커피기구(ICO)에 따르면, 한국의 연간 1인당 커피 소비량은 약 367잔이다.하루에 한 잔 이상씩 마신다는 얘기다.놀라운 건 커피 소비량 자체보다, 그 지출 금액이다.🔎 [2023 커피시장 소비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한국인 1인당 커피 지출액은 약 360,000원에서 600,000원 사이로 추산된다.카페 커피 기준이라면 1잔 4,000원으로 계산할 경우, 연간 146만 원.믹스커피나 캡슐까지 포함하면? ..

알대쓸금 [3] 2025 신용 점수 올리는 방법 총정리

알대쓸금: 알고보면 대단히 쓸모가 있는 금융정보💳 신용 점수 올리는 방법 총정리"신용은 돈보다 강하다"1. 신용 점수란 무엇인가?신용 점수는 금융기관이📌 대출이나 카드 발급 여부를 판단할 때 쓰는 숫자다.쉽게 말해, **"이 사람이 돈을 빌려주면 잘 갚을까?"**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대부분 300점에서 850점 사이로 분포하며,점수가 높을수록✅ 대출 승인이 쉽고✅ 이자율도 낮아진다.✨ 신용 점수는 인생의 퍼스널 스펙이다.2. 신용 점수는 어떻게 계산되는가?신용 점수는 신용 보고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된다.주요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항목비중납부 이력35%신용 사용률30%신용 거래 기간15%신용 종류 다양성10%신규 신용 활동10%📌 이 중 가장 중요한 건 납부 이력과 사용률이다.3. 신용 점..

재미있는 생활통계 [3] 2025년 대한민국 일자리 분포 현황 총정리

💼 2025년 대한민국 일자리 분포 현황 총정리“일자리, 어디에 어떻게 몰려 있을까?”1. 대한민국 일자리 지도를 펼치다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일자리 분포는📍 수도권 집중 현상이 여전히 뚜렷하다.하지만 일부 비수도권 광역시도 ‘특화된 일자리’로 약진 중이다.일자리 밀도는 단순히 인구 수만이 아니라산업구조기업 입지지역 정책등의 영향을 함께 받는다.📌 일자리는 결국 ‘사람과 돈이 몰리는 곳’을 따라간다.2. 수도권은 여전히 일자리 블랙홀서울, 경기, 인천이 세 지역은대한민국 전체 일자리의 약 50% 이상을 차지한다.지역일자리 비중서울약 28%경기약 18%인천약 5%😎 특히 판교, 강남, 여의도는IT, 금융, 바이오헬스 산업 중심으로 고급 일자리가 밀집해 있다.3. 서울 안에서도 ‘쏠림’은 더 심해..

자영업자 소득 2025년 최신 기준, 상위 1% 4793만 원

2025년 자영업자 소득 기준이 새롭게 업데이트됐다. 프리랜서, 유튜버부터 온라인 셀러까지 다양한 자영업 형태가 늘어나는 요즘, 소득 상위 1%는 얼마나 벌까? 놀랍게도 4793만 원이다. 이게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자영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세금 정보를 한번 살펴보자.자영업자 소득 기준이 뭐예요?자영업자 소득은 생각보다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요즘 인기 있는 유튜버나 블로거부터 전통적인 자영업자, 임대사업자까지 모두 포함된다. 2025년 기준으로 근로소득 외 기타 소득이 400달러(약 53만 원) 이상이면 세금 신고 대상이 된다. 강의를 몇 번 하거나, 책을 출간해 인세를 받은 경우, 유튜브 광고 수익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특히 요즘 많아진 N잡러들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다. 2025 자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