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6

투자 따라하기 [3] K-직장인의 월급 100만원 투자법: 현실적인 소액 투자 방법

“K-직장인, 월급 100만원으로 투자 시작한다”점심값이 1.5만원이다.스타벅스 라떼에 샌드위치 하나면 끝이다.월 30일이면, 점심값만 45만원이다.💡 그럼 묻는다.‘나는 대체, 무엇을 위해 일하고 있는가?’누군가는 말한다.“일은 투자금 마련하는 과정이다.”그리고 그 말에 맞춰월급 100만원을 투자하기로 결심한 직장인들이 있다.오늘은 그런 현실적인 K-직장인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따라가본다.K-직장인 A씨의 조건항목내용연령31세직업중견기업 사무직월급실수령 약 320만원고정지출월세 70 + 식비 45 + 보험 15 + 기타 40가용 투자금월 100만원 부모 찬스 없음, 빚 없음, 시간이 없음.그저 꾸준함 하나로 투자하고 있는서울살이 평범한 직장인의 사례다.A씨의 포트폴리오 요약"가장 먼저 월급통장에서 10..

유용한 경영분석 기법 [5] BCG 매트릭스: 제품 포트폴리오 분석하기

도대체 이 제품은 왜 유지해?우리가 회사를 다니다 보면 이런 제품 하나쯤은 있다.“이건 진짜 안 팔리는데 왜 계속 만들지…?”그럴 때 들이대야 할 전략 도구, 바로 BCG 매트릭스다.이 네모난 표 하나가 회사의 제품 운명을 결정짓는다.실적 없는 ‘감정 투자 상품’을 처단하는 냉정한 잣대이기도 하다. 🧊🔎 BCG 매트릭스란?BCG는 Boston Consulting Group의 줄임말이다.1970년대, 이 글로벌 컨설팅 펌이 기업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분석하기 위해 만든 모델이 바로 BCG 매트릭스다.두 가지 기준만으로 모든 제품군을 4가지로 나눈다.축의미시장성장률해당 산업의 성장 속도 (빠르면 별, 느리면 캐시카우 or 도그)시장점유율우리 제품의 해당 시장 내 비중 (높으면 강자, 낮으면 약자) 이 두 ..

일좀 해봤습니다만? [1] 계정과목 구분: 이 계정은 그 계정이 아니야

🧾 이 계정은 그 계정이 아니야– 헷갈리면 벌어지는 장부 참사 –“다 같은 비용 같지만, 회계는 그런 걸 용서하지 않는다.”1. 회계 장부에선 ‘비슷한 건 없다’실무 회계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면서도, 은근히 골치 아픈 게 바로 **‘계정과목 구분’**이다.접대비로 처리한 게 알고 보니 복리후생비였고, 소모품비로 정리한 게 사실은 비품이었다는 이야기는 어느 회사에서나 하루에 한 번쯤 나온다.겉보기에 비슷해 보이는 지출이라도, 회계와 세무의 세계에서는 천지차이다.특히 세금 처리, 손익 분석, 내부 보고 시점에 이 문제가 터지면…? 😨“이거 왜 이렇게 처리했어요?”라는 한마디에 팀 전체가 무릎을 꿇게 된다.2. 계정과목 구분 실수, 왜 자주 일어날까?실수는 대체로 이렇게 시작된다.“이거 지난번에도 접대비로..

재미있는 생활 통계 [5] 편의점 소비, 10년 모으면 1500만원?

🍙 편의점은 오늘도 당신의 월급을 소리 없이 가져간다“그냥 삼각김밥 하나, 캔커피 하나야.”지극히 사소한 선택이지만,이 작은 루틴이 한 달, 그리고 일 년 후 어떤 흔적을 남기는지 알고 있는가?1. 편의점, 그곳은 도시인의 부엌이다한국은 세계적으로도 편의점 밀집도가 높은 나라다.2024년 기준 전국에 약 5만 개의 편의점이 운영 중이며,서울만 해도 500m 이내에 편의점이 두세 개씩은 존재한다.그야말로 ‘코앞의 소비’다.24시간 켜져 있는 네온사인과 “삑” 소리는우리 지갑도 함께 열리게 만든다.📌 그런데, 이 익숙한 장소가당신의 월급 도둑일 수도 있다.2. 편의점 소비, 얼마나 하고 있을까?통계청과 편의점 업계 리포트를 종합하면2030 세대의 월평균 편의점 지출은 약 12만~15만 원 수준이다.특히 ..

이색투자방법 [5] 레고 투자: 진짜로 수익 난다고요?

장난감이 아니라고요?레고 투자, 알고 보면 진짜 돈 되는 이야기 🧱"어른이 되면 레고 안 가지고 놀 줄 알았지?아뇨, 그땐 레고로 돈을 법니다."요즘 세상엔 정말 별의별 투자 방법이 다 있다. 그중에서도 장난감의 탈을 쓴 투자 자산, 레고가 유독 돋보인다.어린 시절 조립하던 그 레고가 투자 수단이 되고 있다면? 이제부터 그 이유와 실전 방법을 알아보자.1. 레고가 왜 투자 대상이 되는가?레고는 단순한 장난감이 아니다.**‘한정판’, ‘단종’, ‘희소성’, ‘팬덤’, ‘컬렉터 시장’**이라는투자자의 귀가 솔깃해질 단어들을 모두 갖추고 있다.실제로 레고는 시간이 지날수록 가격이 오르는 경우가 많다. 특히 단종된 인기 시리즈는 리셀(재판매) 시장에서 상상 초월의 가격을 부르기도 한다.💸 예시:레고 ‘스타워..

투자 따라하기 [2] 워렌 버핏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버핏 아저씨, 저도 좀 따라해도 될까요?”시작은 아주 단순하다.“내가 보기엔 S&P500 사는 게 낫다.”이 말을 한 사람은 다름 아닌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워런 버핏이다.근데, 정작 본인은 S&P500이 아니라 애플을 40%나 들고 있다. 🍎...그럼 우리도 따라 해보는 수밖에.버핏 포트폴리오의 핵심은?🧠 단순하지만 깊다.워런 버핏이 좋아하는 기업엔 공통점이 있다.브랜드가 강하고가격 결정권이 있으며재무구조가 좋고무너지지 않는 “경제적 해자”가 있다그리고 무엇보다,“버텨줄 수 있는 기업”이다.2024년 기준 버크셔 해서웨이 포트폴리오 구성다음은 미국 공시자료(F13)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워런 버핏 포트의 탑픽이다.이걸 기준으로 개인 버전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본다.종목비중버핏이 좋아하는 이유Ap..

투자 따라하기 [1] 미국 주식 고배당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투자 따라하기 1편"월급처럼 배당 받자" 미국 고배당 따라잡기 프로젝트시작은 이렇다.“나 배당금 들어왔어. 달러로.”이 말이 처음에는 자랑 같았다.두 번째 들었을 땐, 부러웠고,세 번째 들었을 땐… 계좌를 열었다.은행 이자는 실감도 안 나는데,미국 배당주는 진짜로 돈을 준다.그것도 매달! 📅그렇다. 바로 오늘은 그 배당금 부자 따라잡기에 도전해본다.미국 고배당주란 무엇인가고배당주는 말 그대로 배당금을 많이 주는 주식이다.미국은 특히 배당 문화가 발달해서,기업들이 "분기마다" 혹은 "매달" 돈을 나눠준다. 💵여기서 핵심은 "매달"이다.한국에선 상상도 어려운 월급 같은 배당.바로 이 월배당 시스템 덕분에미국 고배당 포트폴리오는 투자자들의 로망이 되었다.따라하기 포트폴리오 구성 (예시: 1,000만원..

재미있는 생활 통계 [4] 한국인은 커피에 얼마를 쓸까?

☕ 하루 한 잔의 위로, 혹은 연간 180만 원의 지출이다“하루 한 잔, 이 정도는 괜찮잖아?”그렇게 말하며 테이크아웃 커피를 들고 사무실로 향하는 발걸음.☕ 그 한 잔이 위로가 되는 건 사실이지만, 통계는 좀 다르게 말한다.1. 커피는 이제 생필품이다한국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커피 소비 대국이다.국제커피기구(ICO)에 따르면, 한국의 연간 1인당 커피 소비량은 약 367잔이다.하루에 한 잔 이상씩 마신다는 얘기다.놀라운 건 커피 소비량 자체보다, 그 지출 금액이다.🔎 [2023 커피시장 소비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한국인 1인당 커피 지출액은 약 360,000원에서 600,000원 사이로 추산된다.카페 커피 기준이라면 1잔 4,000원으로 계산할 경우, 연간 146만 원.믹스커피나 캡슐까지 포함하면? ..

이색투자방법 [4] 조각투자 플랫폼 완전 정복: 조각내도 수익은 통으로

조각내도 수익은 통으로!조각투자 플랫폼 완전 정복 🧩부동산? 주식? 펀드? 다 해봤다면 이제는 색다른 걸 해볼 차례다. 요즘 뜨는 이색 재테크의 정점, **‘조각투자’**가 그 주인공이다. "조각조각 나눠도 돈 되는 건 있다!"는 말이 왜 나왔는지, 조각투자의 세계를 본격적으로 파헤쳐보자. 1. 조각투자란 무엇인가?조각투자는 말 그대로 ‘비싸서 혼자 사기엔 부담스러운 자산’을 여러 명이 나눠서 투자하는 방식이다.예를 들어, 20억짜리 고흐 그림을 통째로 살 수는 없지만, 1억 원어치의 지분만 사서 공동 소유자가 되는 방식이다.이걸 가능하게 해주는 게 바로 조각투자 플랫폼들이다.명화, 슈퍼카, 시계, 와인, 심지어 연예인 저작권료까지…! 요즘은 조각 안 나는 게 없다고 봐야 한다.🧠 한 줄 요약: 조각..

이색투자방법 [3] 태양광 투자: 수익부터 리스크까지 A to Z

☀️ 태양광 투자: 수익부터 리스크까지 A to Z“이자도 받고, 전기도 팔고, 지구도 살리고?”이런 말이 현실이 될 줄이야. 재테크의 시대, 우리는 주식도, 부동산도, 금도 사고팔지만 오늘 소개할 투자는 조금 특별하다. 이름하여 태양광 투자다. “태양? 그거 여름에 뜨거운 거 아니야?”라고 생각했다면, 오늘 포스팅을 찬찬히 읽어보자. 여기는 지금, 빛으로 돈을 버는 사람들의 세계다.1. 태양광 사업, 얼마나 ‘빛’이 나나?태양광 발전 사업, 그 실체는 이렇다. 100kW짜리 발전소를 만들면 연간 약 2천만 원의 매출이 발생한다. 계산은 간단하다.100kW × 3.7시간 × 365일 × 153원 = 약 2,066만원 단가(=SMP+REC)가 변동될 수 있지만, 이 정도면 ‘햇빛만 있으면 현금이 들어오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