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WOT 분석, 전략의 판을 짜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
“나를 알고 남을 알면 백전백승”은 SWOT 분석이 먼저다
1. SWOT 분석이란 무엇인가?
SWOT은 다음 네 단어의 머리글자를 딴 전략 분석 프레임워크다.
- Strength: 강점
- Weakness: 약점
- Opportunity: 기회
- Threat: 위협
📌 내부 요인(강점·약점)과 외부 요인(기회·위협)을 교차분석해
경쟁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전략을 도출하는 가장 기초적인 도구다.
2. SWOT 분석은 왜 중요한가?
전략을 수립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내가 무엇을 잘하고, 못하며,
외부에 어떤 기회와 위협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일이다.
SWOT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효과적이다:
✅ 창업 초기 사업 전략 구상
✅ 기존 기업의 리브랜딩 또는 전환기 대응
✅ 팀/조직의 내부 평가
✅ 개인 경력설계 또는 포트폴리오 전략 구성
😎 즉, **“판을 짜기 전, 반드시 깔아야 하는 테이블”**이다.
3. SWOT 분석의 4요소를 정확히 이해하자
🔵 Strength – 강점
- 내가 남들보다 더 잘하는 것
- 우리 제품·서비스의 차별화 포인트
- 고객이 우리를 선택하는 이유
예:
✅ 독보적인 기술력
✅ 탄탄한 유통망
✅ 높은 브랜드 충성도
🔴 Weakness – 약점
- 경쟁자보다 부족한 부분
- 고객이 불편하게 여기는 지점
- 조직 내부의 리소스 부족
예:
❌ 낮은 인지도
❌ 내부 커뮤니케이션 문제
❌ 생산성 저하
😅 약점을 명확히 보는 건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이 진짜 전략의 출발점이다.
🟢 Opportunity – 기회
- 산업 트렌드의 긍정적 변화
- 새로운 시장 진입 가능성
- 정책 또는 법규 완화
예:
✨ 친환경 트렌드 확대
✨ 고령화 → 시니어 시장 성장
✨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 정책
📌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만 열린다.
그래서 이 영역을 잘 포착해야 한다.
🔴 Threat – 위협
- 경쟁 심화
- 규제 강화
- 원자재가 급등 등 외부 악재
예:
🚫 새로운 강력한 경쟁사의 등장
🚫 금리 인상으로 인한 소비 위축
🚫 공급망 차질
📌 위협은 “현재는 아니지만 곧 다가올 수 있는 현실”이다.
4. SWOT 분석의 구조는 이렇게 생겼다
내부 | Strength (강점) | Weakness (약점) |
외부 | Opportunity (기회) | Threat (위협) |
이 네 가지를 크로스매칭해서 전략을 도출한다:
- SO 전략: 강점으로 기회를 활용
- ST 전략: 강점으로 위협에 대응
- WO 전략: 약점을 보완해 기회를 활용
- WT 전략: 약점과 위협을 모두 피하거나 회피
5. 실전 예시: 소형 커피 브랜드의 SWOT 분석
강점(S) | 로컬 고객 대상 충성도 높은 고객층, 홈메이드 원두 사용 |
약점(W) | 인지도 부족, 배달 시스템 미비 |
기회(O) | MZ세대 중심 커피 트렌드, SNS 바이럴 기회 |
위협(T) | 대형 브랜드의 골목 상권 진출, 원두 가격 상승 |
이 경우 도출할 수 있는 전략은:
- SO 전략: 로컬 충성고객 기반 + SNS 마케팅
- ST 전략: 홈메이드 원두의 차별화 강조
- WO 전략: 배달 시스템 보완 + 온라인 채널 확대
- WT 전략: 운영비 절감 → 가격 경쟁력 유지
6. SWOT 분석을 잘 하려면?
📌 SWOT 분석은 ‘작성’이 아니라 ‘해석’이다.
그저 항목만 채워 넣는다고 전략이 되지 않는다.
다음의 기준을 기억하자:
✅ 각 항목은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해야 함
✅ 외부요소는 ‘통제 불가한 환경’에 국한
✅ SWOT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함
✅ 단순 ‘나열’이 아닌 ‘전략 연결’로 이어져야 함
7. SWOT 분석의 장점은?
✨ 간단하다 → 누구나 이해할 수 있다
✨ 빠르다 → 회의나 브레인스토밍에 적합
✨ 유연하다 → 기업뿐 아니라 개인/조직/팀 등 어디든 적용 가능
특히 중소기업, 스타트업, 창업자에게
📌 초기 전략을 수립하기에 최적의 도구다.
8. 하지만 약점도 있다
SWOT 분석에도 한계는 있다.
- 너무 주관적이다
- 전략적 지침이 부족하다
- 구체적 액션 플랜으로 연결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우리의 약점은 브랜드 약하다” → 그래서 뭘 어떻게 할 건데?
📌 SWOT은 시작점이지 끝점이 아니다.
9. SWOT 분석 이후에 무엇을 해야 하나?
SWOT은 결국 실행 전략을 위한 도입부다.
SWOT 이후에는 다음을 연결해야 한다:
✅ TOWS 매트릭스로 구체화
✅ KPI와 연결된 실천 전략 도출
✅ 가치사슬(Value Chain) 분석으로 보완
✅ 핵심역량(Capability)과 자원 기반 시나리오 정리
즉, SWOT은 ‘전략 지도’가 아니라, 전략의 나침반이다. 🧭
10. 정리하면 – SWOT은 생각의 근육을 키우는 훈련
SWOT 분석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제대로 활용하는 건 결코 쉽지 않다.
그래서 말한다:
“전략은 멋진 말이 아니다. 전략은 질문에서 시작된다.”
- 우리는 무엇을 잘하고 못하는가?
- 시장은 우리에게 어떤 기회를 줄 수 있는가?
- 우리가 지금 당장 경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이 질문들에 진지하게 답하는 순간,
당신의 SWOT 분석은 이미 전략이 된다.
2025.04.18 - [Bravo My Life~!/슬기로운 회사생활[일·생활]] - 경영자라면 꼭 알아야 최신 경영 분석 방법/기법 15가지
'Bravo My Life~! > 슬기로운 회사생활[일·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경영분석 기법 [4] 밸류체인: 가치는 어디서 만들어질까? (0) | 2025.05.06 |
---|---|
유용한 경영분석 기법[3] 마이클 포터의 가치사슬(Value Chain) 분석 (0) | 2025.04.25 |
실무에서 바로 적용하는 BEP 분석 3단계(Break Even Point) (0) | 2025.04.19 |
경영자라면 꼭 알아야 최신 경영 분석 방법/기법 15가지 (0) | 2025.04.18 |
변동비·고정비 계산법을 활용한 CVP 분석 (1)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