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vo My Life~!/슬기로운 회사생활[일·생활]

경영자라면 꼭 알아야 최신 경영 분석 방법/기법 15가지

시밸남 2025. 4. 18. 13:22
반응형

📊 경영자라면 꼭 알아야 할 분석 기법 15가지

“감으로 버티던 경영, 이제 숫자와 프레임으로 바꿔야 한다”


1. 🎯 3C 분석 – 회사, 고객, 그리고 ‘걔’

경영 전략의 기본은 자기 자신, 경쟁자, 그리고 고객을 먼저 아는 것이다.
바로 3C(Company, Competitor, Customer) 분석이다.

  • Company: 내부 역량, 조직 구조, R&D 수준 등 자사 진단
  • Customer: 주요 타겟의 니즈, 인구통계, 구매 행태
  • Competitor: 경쟁자의 점유율, 전략, 고객 인식

📌 세 축을 잘 파악하면 “우리는 누구에게 무엇으로 이길 수 있는가?”가 보이기 시작한다.


2. 🛍 4P 분석 – 마케팅의 교과서

“좋은 제품도 포장, 가격, 유통이 엉망이면 안 팔린다.”
그래서 등장한 마케팅 4P!

  • Product: 제품 품질, 스타일, 브랜드, 포장
  • Price: 정가, 할인, 신용조건 등
  • Place: 유통 채널, 재고, 배송
  • Promotion: 광고, 판촉, 홍보

😅 “아무리 맛있는 라면이라도 포장지가 촌스러우면 안 팔린다”는 진리가 여기에 있다.


3. 📈 BCG 매트릭스 – 스타는 키우고, 개는 정리하라

Boston Consulting Group이 만든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 도구다.
두 축은 ‘시장 성장률’과 ‘시장 점유율’.

  • 🟢 Star: 점유율 높고, 시장도 뜨거움 – 키워라!
  • 🟡 Cash Cow: 점유율 높지만 성장 둔화 – 짜내라
  • 🔴 Dog: 점유율 낮고 시장도 죽음 – 정리하자
  • 🟠 Question Mark: 성장 중이지만 아직 애매 – 선별 투자

📌 회사 자원이 무한하지 않다면, ‘어디에 투자할 것인가’를 정해주는 마법 도구다.


4. ⚖ 손익분기점 분석 – 밑지고 파는 장사 안 하려면

Break-Even Point.
매출 = 비용 되는 그 순간이 바로 손익분기점이다.

  • 손익분기점 이상 → 이익
  • 손익분기점 이하 → 손실
  • 고정비 + 변동비 계산이 핵심

예를 들어 매장 월 고정비가 1,000만 원, 한 잔당 1,000원 이익이라면?
👉 1만 잔 팔아야 손익분기점이다.

😅 그제야 사장님이 “그럼 커피 10,000잔은 팔아야겠네” 하고 깨닫는다.


5. 💡 비용편익

분석(CBA) – 돈값을 하는 일인가?

한 줄 요약하면,
“이 프로젝트, 결국 남는 장사인가?”

  • 들어가는 모든 비용(직접, 간접, 무형까지)
  • 얻게 되는 모든 편익(수익, 효과, 기대가치)

📌 “What-if” 시나리오도 함께 돌려야 실전적이다.
“만약 이 기능을 빼면?”, “이 가격이면 얼마 팔릴까?”

💸 기획자, 재무 담당자, 정부기관까지 전방위로 쓰는 필살 도구다.


6. 🧭 내부-외부 분석 (IE 분석)

  • Internal: 회사 내부 자원, 강점, 약점
  • External: 시장 변화, 경쟁, 법률, 사회 분위기

VRIS라는 평가기준을 기억하자:

요소설명
V(Valuable) 고객에게 가치가 있는가?
R(Rare) 희소한가?
I(Imitable) 경쟁사가 따라할 수 있는가?
S(Substitutable) 대체 가능한가?

📌 내 힘은 과연 희귀하고, 유용하고, 남들이 못 따라하는가?


7. 🧼 제품 생명주기(PLC)

제품도 생명이 있다.
탄생하고, 자라다가, 늙고, 죽는다.
바로 제품 생명주기(Product Life Cycle)다.

단계특징
Introduction 마케팅 비용만 쓰고 수익 없음
Growth 매출 폭발, 경쟁도 치열해짐
Maturity 매출 정체, 가격경쟁 시작
Decline 매출 하락, 제품 정리 고려
Withdrawal 시장에서 철수

📌 지금 내 제품이 ‘성장기’인지 ‘말기’인지 아는 것만으로도 전략이 달라진다.


8. 🏗 맥킨지 7S 모델

“우리 회사 왜 이리 삐걱대지?”
조직 구조와 문화의 불균형이 문제일 수 있다.
그래서 등장한 McKinsey 7S!

  • Strategy, Structure, Systems
  • Style, Staff, Skills, Shared Values

📌 조직 내 요소들이 잘 맞물려야 성과가 나온다.
“전략은 잘 짰는데, 팀장 스타일이 안 맞으면 무너진다.”


9. ⚔ 포터의 5 Forces 분석

이 산업은 진입할 만한가?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가?
Porter 교수님의 프레임을 보자.

  1. 산업 내 기존 경쟁 강도
  2. 신규 진입자의 위협
  3. 대체제의 존재
  4. 공급자의 교섭력
  5. 고객의 교섭력

📌 경쟁이 과도하거나, 진입장벽이 낮거나, 고객이 까다롭다면
→ 이 산업은 ‘마진 박살’의 가능성이 높다.


10. 📊 이윤(Profit) 분석

  • 총이윤 = 매출 – 비용
  • 비용 = 고정비 + 변동비
  • 매출 = 단가 × 판매량

이론은 간단하다.
문제는… 📉 "단가는 낮아지고, 고정비는 늘고, 수요는 안 보일 때"

📌 그래서 순이익이 아니라 영업이익과 현금흐름 중심의 판단이 중요하다.
회계는 얼마든지 이윤을 꾸밀 수 있으니까.


11. 📐 비율분석 – 숫자로 보는 기업 건강

회사도 건강검진이 필요하다.
그게 바로 재무비율 분석이다.

분석 구분주요 지표
수익성 ROA, ROE, EPS, PER
유동성 유동비율, 당좌비율
안정성 부채비율, 이자보상비율
효율성 매출채권 회전율, 재고자산 회전율

📌 숫자 몇 개로 회사의 ‘심장 박동수’를 확인할 수 있다.


12. ⚖ 수요공급의 법칙 – 경제의 A부터 Z

‘가격’은 결국 수요와 공급이 결정한다.

  • 수요 > 공급 → 가격 상승
  • 공급 > 수요 → 가격 하락

📈 초과수요: 제품 부족 → 고객이 줄 서는 상황
📉 초과공급: 창고에 쌓인다 → 떨이 세일

😅 “고객이 몰리면 가격이 오르고, 외면하면 가격이 내려간다.”
이 단순한 진리를 이해 못하면 마진 구조도 무너진다.


13. 🧠 SWOT 분석 – 전략의 출발점

  • Strengths: 내가 잘하는 것
  • Weaknesses: 개선이 필요한 것
  • Opportunities: 외부 기회
  • Threats: 외부 위협

내부와 외부, 긍정과 부정의 4가지 시선으로 바라보는 기초 분석.

📌 기업 전략도, 개인 경력도 SWOT으로 시작하라.
면접도 사실은 자기 SWOT을 잘 설명하는 게임이다.


14. 🏭 가치사슬(Value Chain) 분석

원자재 수급부터 생산, 유통, 고객 응대까지
모든 활동을 체인으로 바라보는 모델.

  • Inbound logistics → 생산 → 유통 → 마케팅 → 서비스
  • 지원 활동: 인사, 기술, 재무

📌 어떤 구간에서 가치가 창출되고, 어떤 구간이 비용만 드는지 분석하면
수익성 개선 포인트가 보인다.


15. 🔗 Value Net 분석 – 경쟁만이 답은 아니다

Porter는 경쟁 중심이었다면,
Value Net은 협력도 강조한다.

  • 수직: 공급자 ↔ 회사 ↔ 고객
  • 수평: 경쟁자 ↔ 보완재 기업

📌 고객에게 더 큰 가치를 주는 관계는 경쟁이 아닌 **“보완”**일 수도 있다.
예: 삼성폰 + 카카오앱 = 함께 강해진다


✍ 마무리하며 – 감에서 프레임으로, 찍기에서 분석으로

이제 ‘사장 촉’ 하나로 의사결정 하던 시대는 지났다.
정확한 분석, 프레임워크, 숫자와 구조의 힘이
기업의 운명을 가른다.

📌 경영 분석은 모두가 알아야 할 생존 기술이다.

 

✍다른글 더보기

2025.04.15 - [Bravo My Life~!/슬기로운 회사생활[일·생활]] - 변동비·고정비 계산법을 활용한 CVP 분석

반응형